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국보 / 무위사 극락보전 국보 / 무위사 극락보전 기본정보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규모 정면 3칸, 측면 3칸, 맛배지붕, 주심포식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시대 조선초기 관람시간 연중 09:00 ~ 18:00 휴관일 연중무휴 입장료 무료 주차시설 무료 상세정보 무위사는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39년(서기 617) 원효대사에 의해 당초 관음사로 창건되었다고 하나 명확한 근거는 없다. 만 신라시대부터 무위갑사란 이름으로 불려 왔던 사실은 경내에 현존하고 있는 선각대사편광탑비명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은 네번째 중건인 서기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극락전 만은 최근(1956년경)에 실시된 보수공사에서 본존 후벽의 벽화 명문에 `십이 병신삼월초길 .. 더보기
원장님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강진문화원장 박종민입니다. 강진문화원 홈페이지를 찾아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강진은 서남해안에 위치한 농어촌지역입니다. 도강현과 탐진현을 합하여 강진현(康津縣)이라 명한 이후로 '강진'이라는 지명이 탄생되었습니다. ‘강진군'하면 모두가 ‘청자골 강진’을 먼저 떠올립니다. 우리지역 강진은 고려시대(9C ~ 13C까지)부터 500년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상감기법의 청자를 생산했던 고장입니다. 지금도 관요를 비롯한 민간요에서 최고의 고려청자 재현품을 비롯한 명품청자를 생산하고 있으고 생활에 응용한 생활자기를 제작하여 청자의 대중화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매년 개최하는 '강진청자축제'는 대한민국 국가대표축제로 지정되어 그 명성을 세계에 전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산 정약용 선생의 유배지로 다.. 더보기
제6회 대한민국 목민심서 서예공모대전 모집요강 제6회 대한민국 목민심서 서예공모대전 모집요강 실학의 거성 다산 정약용 선생을 추모하는 제6회 대한민국 목민심서 서예공모대전을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서예동호인들께서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1. 전시기간 2017. 11. 06.(월) ~ 11.10.(금) (5일간) 2. 장 소 강진아트홀 전시관 3. 부 문 한글, 전서, 예서, 해서, 행초서, 문인화, 전각서각/현대서예, 청자도자기 (총 8개 부문) 4. 원서교부 2017년 5월 25일부터 한국서협 전남지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5. 작품접수기간 2017. 9. 26(화)~ 9.29.(목) 18:00 마감(3일간) ※ 우편접수는 9월 29일까지 소인유효 6. 작품접수장소 우527-802 전남 강진군 강진읍 보은로4길-5 유림회관2층.. 더보기
한골목 옛 담장 한골목 옛 담장 소재지 전남 강진군 병영면 지로리 291-1번지 일대 입장료 :무료 돌과 흙을 번갈아 쌓은 토석담으로 중단 위쪽으로 얇은 돌을 약15˚정도 눕혀서 촘촘하게 쌓고 다음층에는 다시 엇갈려 쌓는 일종의 빗살무늬 형식의 담쌓기로 이곳에는 이 형식을 '하멜식 담쌓기'라 부르는 독특한 형태의 담장이다. 1653년 하멜이 탑승한 상선 스페르웨르호가 나가사키로 향해하던 중 폭풍을 만나 제주도에 표류하였다가 서울로 압송되었는데 서울에서 효종을 알현하였다가 일본으로 돌아가기를 청하였지만 거절되고 이곳 병영면 전라병영성에 억류된 하멜 일행이 1656년부터 7년간 이곳에 머무는 동안 전해져온 방식이라고 한다. 그 독특함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보기
월출산 녹차밭 월출산 녹차밭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백운로 93-25 관람시간 입장료 :무료 연락처 : 061-432-5500 남한의 금강산이라 불리우는 월출산은 큰 바위가 병풍처럼 둘러쳐진 산으로 그 경치가 마치 한폭의 산수화를 그려 놓은 것과 같이 산세가 뛰어나며 예로부터 산 주변의 여러 사찰을 중심으로 차나무가 재배 되었던 곳이다. 강진 월출산 아래의 볼모 야산도 1981년 5월에 개간되기 시작는데, 이곳은 옛부터 녹차를 애호하는 문인 선비들의 전통사상이 면면이 이어져 온 곳으로 특히 강진 해남지역의 녹차 사랑은 초의선사와 다산 정약용의 영향으로 그 뿌리가 더욱 굳건했다. 그래서 기후조건이 적합한 월출산 남쪽기슭의 볼모지를 개간하여 약 10만여평의 다원을 조성하게 되었다. 예로부터 좋은 차는 명산에서 생산.. 더보기
백련사 백련사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련사길 145 백련사 관람시간 09:00~18:00 입장료 :무료 연락처 : 061-432-0837 만덕산(408m)에 있으므로 만덕사(萬德寺)라고도 한다. 사찰의 창건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인 839년 무염스님이 창건하였다. 사찰의 이름은 만덕산 백련사라고 불렀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만덕사로 불렀다. 하지만 근래에 다시 이름을 고쳐 백련사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려시대에 들어 불교를 숭상하였기에 원묘국사 요세(了世) 스님에 의해 사찰의 교세는 확장되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 억불정책으로 승려들은 천시되었고 백련사는 퇴보하기 시작했다. 거기다 남해안 일대는 고려청자와 곡창지대로 약탈을 목적으로 자주 출몰하는 왜구들에 의해 점점 폐사될 지경으로 내몰렸고 사찰은 명맥만.. 더보기
병영 은행나무 병영 은행나무 소재지: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70 문의처:061-430-3181 관리소:향토문화관 지정번호:천연기념물 제385호 지정일:1997년 12월 31일 병영면의 은행나무는 강진읍에서 북동으로 14.8㎞ 떨어진 병영면 소재지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고려시대에 도강(도강)현의 현청이 있던 곳으로서, 조선시대 태종 17년(1417년)에 병영을 설치하여 병마 절도사를 둔 곳이기도 하다. 이 곳으로부터 은행나무는 약 500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다. 은행나무는 동성마을 중앙에 우뚝 솟아 마을의 상징목으로 되어 있으며 수고 30m, 흉고둘레 6.75m, 수관폭은 중심에서 동쪽으로 16.5m, 서쪽으로 13m, 남쪽으로 10.9m, 북쪽으로 3.5m나 뻗어 있다. 은행나무(Ginkgo biloba).. 더보기
영랑생가 영랑생가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영랑생가길 15 관람시간 09:00~18:00 입장료 :무료 연락처 : 061-430-3185 김영랑이 1903년에 태어나 1948년 9월 가족과 함께 서울로 이주하기 전까지 45년간 살았던 집이다. 영랑이 서울로 이주하면서 생가는 다른 사람의 소유가 되었다. 1970년대 새마을 사업으로 지붕을 시멘트기와로 보수하였고, 기단부와 벽체는 시멘트로 발라 원형을 잃어버렸다. 하지만 1985년 강진군청이 그 집을 다시 사들여 복원작업을 하였고 원래 초가집의 원형으로 다시 지었다. 본채와 사랑채 2동만이 남아 있고 주변에는 모란밭이 조성되어 있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인 초가지붕이다. 본채에서 10여 m 떨어진 왼쪽에 사랑채가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초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