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덕호사 덕호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덕천리 765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6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1686년(숙종12) 향내 유림들의 발의로 군동 금천에 금호사 창건 1792년(정조16) 현 위치로 이건하고 사우의 명칭을 “덕호사”로 변경 1868년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51년후인 1977년 유림들 노력으로 복설 [ 건축양식 ] - 강당(정면3칸, 측면2칸 팔작지붕) - 내삼문(정면3칸, 솟을대문 맞배지붕) - 신실 및 고직사 각 1동 더보기 대계사 대계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대구면 계율리 727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2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대구면 계율리 727, 답, 270㎡ 건물 3동(강당, 신실, 내삼문) 1860년 창건,1868년(고종5) 훼철 1975년 후손과 지방유림들의 성의로 사우를 재건하여 향사해 오고 있음. 배향인문은 수운 조정통외 3인임 더보기 남원포 봉수대 남원포 봉수대 소재지:전남 강진군 마량면 원포리 385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마량면 원포리 산 41, 임야, 177,620㎡중2,000㎡ 1422년(세종4) 설치한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봉수대임(부지453평) 더보기 김정옥(강진향토문화유산 제45호) 김정옥(강진향토문화유산 제45호) 소재지:전남 강진군 칠량면 영동리 강진 칠량면 영동리에서 1961년부터 대장간을 운영하고 있는 김정옥 야장은 농기구 등을 전통방식인 망치로 두들겨 만들어 오고 있는 지역내 유일한 대장장이로 호미, 낫 등 농어민이 필요로 하는 도구를 생산해 내고 있다. 값싼 중국산 제품과 최신 전동기계의 개발로 점점 잊혀져 가는 풍경 속에 옛 전통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쇠를 두드리고 만지는 강진의 마지막 야장이다. 최근 각종 농기구 및 생활기구가 기계에 대량생산되는 상황에서 전통방식에 의한 대장간을 운영하는 우리 군 마지막 기능인으로 아직도 전통방식으로 불을 때 쇠를 달구고 망치로 쇠를 두드리고 담금질을 한다. 더보기 김덕란 의병장 창의록 김덕란 의병장 창의록 소재지:전남 강진군 강진읍 영파리 810 정유재란으로 국가가 혼란에 빠져 있을 때 의병에 함께 참여하였던 ‘서희서’가 1599년(선조32년)김덕란 의병장의 활동 내용을 기록한 서책임 창의록 개요 장수 : 22쪽 크기 : 22.5 × 30. 5cm 글씨체 : 해서 및 행서체(한문) 더보기 금산원 금산원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금사리 산 1-1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0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0호 군동면 금사리 산 1-1, 임야, 37,587㎡중 1,000㎡ 건물 4동(강당, 신실, 내삼문, 외삼문) 1842년 감성재를 세우고 주벽으로 김취려,배향에,김자수 등 3위를 모심 1940년 나주 정열사에서 강진으로 옮겨와 창건하고 김취려를 주벽으로 김성진 등 5위를 봉안하고 금산원으로 액호를 바꾸어 유도향사하고 있음 더보기 군자서원 군자서원 소재지:전남 강진군 작천면 군자리 507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8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작천면 군자리 507, 종교용지, 602㎡ 건물 4동(강당, 신실, 내삼문, 외삼문) 1820년(순조20)건립 향사해 오다 서원훼철령으로 훼철, 1960년 신축 현재에 이름 더보기 강진수성당 강진수성당 소재지: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131 1885년 수성당 창건 1894년 동학 때 소실 1936년 2월 중창 우리 군 최초의 노인당, 동학유적지 독립운동의 후원처 강진수성당 개요 - 구조 : 전통한옥(목조, 기와) - 규모 : 1동(58㎡) - 기타 : 4칸 팔작지붕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