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와 역사

정 약 용 다산 정약용(1762.6.16~1836.2.22) 출생지 / 경기도 남양주 다산은 1762년 아버지 정재원과 어머니 해남윤씨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난 곳은 한강 강변 마현 마을(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이다. 10세부터 과예(課藝) 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아버지가 잠시 벼슬을 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 경전(經典)과 사서(史書) · 고문(古文)을 매우 부지런히 읽었으며, 또 시율(詩律)을 잘 짓는다는 칭찬을 받기도 했다. 다산은 1776년 풍산홍씨와 결혼하였다. 홍씨부인과 다산 사이에는 6남 3녀의 9남매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요절하고 2남 1녀만이 살아남았다. 1777년 다산은 자신의 학문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스승을 만나게 되었으니 바로 성호 이익이다. 다산이 두 살 되던 해에 성호.. 더보기
4.4 독립만세운동 열사 -독립의사 26인 명단- (1차거사) 김영수 의사 (당시나이 27세, 강진읍 춘전리 출생) 김학수 의사 (당시나이 25세, 강진읍 송정리 출생) 김안식 의사 (당시나이 24세, 강진읍 서성리 출생) 김성수 의사 (당시나이 21세, 강진읍 남성리 출생) 김위균 의사 (당시나이 20세, 강진읍 서성리 출생) 김현상 의사 (당시나이 20세, 강진읍 서성리 출생) 양경천 의사 (당시나이 20세, 강진읍 동성리 출생) 김계명 의사 (당시나이 19세, 강진읍 남성리 출생) 김만철 의사 (당시 나이 19세, 강진읍 남성리 출생) 김병우 의사 (당시나이 19세, 강진읍 서성리 출생) 김영호 의사 (당시나이 19세, 강진읍 서성리 출생) 김윤식 의사 (당시나이 18세, 강진읍 남성리 출생) (2차거사 합류) 김재문 의사.. 더보기
오 응 추 오응추(1898.8.20~1969.9.15) 출생지 / 전남 강진군 1898.8.20~1969.9.15 / 3.1운동 / 대통령표창(92) 1919년 4월 4일 강진군 강진읍 장터에서 이기성, 오승남 등과 함께 만세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주민들을 규합, 장터에 모인 1,000여명의 시위군중과 같이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운동을 벌이다가 일경에 피체되었다. 이해 4월 15일 광주지방법원 장흥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형을 언도받고 공소하여, 5월 2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원판결이 취소되고 징역 5월형으로 감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2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더보기
김 한 섭 김 한 섭 출생지 / (내용참조) ★ 김한섭(金漢燮) 본관 = 영광(靈光) 자 = 치용(致容) 호 = 오남(吾南) 월봉 광원(光遠)의 후손 ○ 노사 기정진(1798~1876)에게 배우고 중암 김평묵(1819~1888)과 고산 임헌 회(1811~1876)와 도덕과 의리로 사귀다. ○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에 대한 학문을 전문 적으로 연구하다. ○ 김 중암은 남해영수(南海領袖)라 높여 칭찬하고 고산 임헌회는 호를 지어 주 되 오남(吾南)이라 하다. ○ 이 내용으로 보아서 그의 인품을 알 수 있다. ○ 장흥의 흥룡단(興龍壇)에 중암 김평묵과 함께 모시고 문집 7권이 있다. 더보기
김 봉 채 김 봉 채 출생지 / (내용참조) ★ 김봉채(金鳳采) 본관 = 청주(淸州) 자 = 백오(伯伍) 호 = 귤은(橘隱) 오우당 응수(應洙)의 아들이며 운평 송능상(1710~1758)의 제자이다. ○ 젊어서 부터 늙을때까지 호중(湖中)에 가서 공부하니 학식이 높은 선비가 되 다. ○ 성담 송문경( ? )과 근와 김 회(1729~1800)와 도덕과 의리로 사귀되 형제의 정을 맺으니 서울에서는 3형제라 하되 맨끝에 해당된다. ○ 학문과 예술, 품행과 도의가 모두에게 알려지다. ○ 직접 글을 지은 「성리예설 性理禮設」이 유고(有稿)에 드러나다. 더보기
이 의 경 이 의 경(1704~1778) 출생지 / (내용참조) ★ 이의경(이의경1704~1778) 본관 = 원주 호 = 동강(桐岡) ○ 장헌 세자(1735~1762)의 부솔(副率)을 맡았다. ○ 사람이 지켜야 할 윤리와 준칙, 예악과 법도가 온 나라를 눈부시게 비추어 지식 계층에서 스승으로 삼고 본받다. ○ 문집이 있고 강진의 북쪽 40리인 성전면 월남리 월강사(月崗祠)에 향사 하였다. 더보기
오 필 주 오 필 주 출생지 / (내용참조) ★ 오필주(吳弼周) 본관 = 해주 자 = 서경(瑞卿) 호 = 모재(慕齋) 진사 팽수(彭 )의 5세손 ○ 우암 송시열(1607~1695)에게서 배우고 손재 박광일(우암 제자)과 서로 사귀어 오고 가다. ○ 두 선생의 의지와 취향을 몸소 경험하고 알되 철저하게 꿰뚫었다. ○ 성리학의 깊고 넓음이 공정하고 사심이 없어 세상 사람들이 공경하며 복종하 다. ○ 글 가르치는 집 건물을 안풍 마을에 짓고 명예와 이익을 구하지 않으며 대원 칙을 실행하다. ○ 세상을 떠나니 마을의 이름을 동자촌이라 하다. ○ 오필주의 의를 실천함이 동소남의 행의에 견주어 안풍처사(安豊處士) 라 칭하다. ○ 회산 홍직필(1776~1852)이 행장을 짓고 유고(有稿)가 있다. 더보기
이 수 인 이 수 인(1601~1661) 출생지 / (내용참조) ★ 이수인(李壽仁1601~1661) 본관 = 연안 호 = 성암(惺菴) 문청공 청련의 후손 ○ 타고난 성품이나 자질이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의지와 정신이 엄숙하고 결백 했다. ○ 재주가 있고 영리하며 학식은 깊고 넓되 대대로 전해오는 교훈을 윗사람에게 서 받고 후진의 학자를 칭찬하며 추천하다. ○ 병자(1636) 이후로 주나라를 받드는 대 원칙을 굳게 간직하되 벼슬길에 나 아가기를 단념하다. ○ 월출(성전 안운리)의 암벽에 「대명건곤 학천유거 大明乾坤 鶴川幽居」8글자 를 크게 새겨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을 뜻을 드러내어 밝히다. ○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조정에 적극 천거하여 말하되 “이수인은 퇴직하 고 휴양할 절제가 있다” 고 칭찬하다.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