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명발당 명발당 명발당:전남 강진군 도암면 항촌리 601 - 정재원과 해룡공 윤광택의 교류 - 다산과 윤서유, 윤시유의 교류 - 다산 사위 윤영희의 생가 - 다산 따님이 나주 정씨와 혼인하여 거주 하였던 곳 더보기 명곡서원 명곡서원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용소리 240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6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군동면 용소리 240, 대지, 317㎡ 건물 3동(강당, 신실, 내삼문) 1984년 장흥과 강진 유림들이 논의 창건 본 서원은 성제 최충 등 5위를 향사하고 있음 더보기 말무덤 말무덤 소재지:전남 강진군 작천면 용상리 240-5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20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작천면 용상리 240-5, 잡종지, 98㎡ 양건당 황대중이 전장에서 사망하자 전우인 김완장군이 고인의 시신을 말에 태워 보냈으나 말이 고향인 구상리에 이르러 황공을 장사지낼때까지 먹이를 안먹다 3일후 죽자 황공(公)무덤곁에 말무덤을 만들어 주었다고 전해옴 더보기 둔덕사 둔덕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도암면 덕서리 436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5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도암면 덕서리 436, 대지, 377㎡ 건물 3동(강당, 신실, 내삼문) 1971년 향유의 발론으로 사림과 후손들이 사우건립 둔덕사라 칭함 고려시대 명현이자 도성부원군과 도강백에 봉하였던 도강김씨 시조 김희조등 3위를 제향하고 있음 더보기 덕호사 덕호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덕천리 765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6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1686년(숙종12) 향내 유림들의 발의로 군동 금천에 금호사 창건 1792년(정조16) 현 위치로 이건하고 사우의 명칭을 “덕호사”로 변경 1868년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51년후인 1977년 유림들 노력으로 복설 [ 건축양식 ] - 강당(정면3칸, 측면2칸 팔작지붕) - 내삼문(정면3칸, 솟을대문 맞배지붕) - 신실 및 고직사 각 1동 더보기 대계사 대계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대구면 계율리 727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2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대구면 계율리 727, 답, 270㎡ 건물 3동(강당, 신실, 내삼문) 1860년 창건,1868년(고종5) 훼철 1975년 후손과 지방유림들의 성의로 사우를 재건하여 향사해 오고 있음. 배향인문은 수운 조정통외 3인임 더보기 남원포 봉수대 남원포 봉수대 소재지:전남 강진군 마량면 원포리 385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마량면 원포리 산 41, 임야, 177,620㎡중2,000㎡ 1422년(세종4) 설치한 한반도 최남단에 위치한 봉수대임(부지453평) 더보기 김정옥(강진향토문화유산 제45호) 김정옥(강진향토문화유산 제45호) 소재지:전남 강진군 칠량면 영동리 강진 칠량면 영동리에서 1961년부터 대장간을 운영하고 있는 김정옥 야장은 농기구 등을 전통방식인 망치로 두들겨 만들어 오고 있는 지역내 유일한 대장장이로 호미, 낫 등 농어민이 필요로 하는 도구를 생산해 내고 있다. 값싼 중국산 제품과 최신 전동기계의 개발로 점점 잊혀져 가는 풍경 속에 옛 전통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쇠를 두드리고 만지는 강진의 마지막 야장이다. 최근 각종 농기구 및 생활기구가 기계에 대량생산되는 상황에서 전통방식에 의한 대장간을 운영하는 우리 군 마지막 기능인으로 아직도 전통방식으로 불을 때 쇠를 달구고 망치로 쇠를 두드리고 담금질을 한다. 더보기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