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김덕란 의병장 창의록 김덕란 의병장 창의록 소재지:전남 강진군 강진읍 영파리 810 정유재란으로 국가가 혼란에 빠져 있을 때 의병에 함께 참여하였던 ‘서희서’가 1599년(선조32년)김덕란 의병장의 활동 내용을 기록한 서책임 창의록 개요 장수 : 22쪽 크기 : 22.5 × 30. 5cm 글씨체 : 해서 및 행서체(한문) 더보기
금산원 금산원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금사리 산 1-1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0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0호 군동면 금사리 산 1-1, 임야, 37,587㎡중 1,000㎡ 건물 4동(강당, 신실, 내삼문, 외삼문) 1842년 감성재를 세우고 주벽으로 김취려,배향에,김자수 등 3위를 모심 1940년 나주 정열사에서 강진으로 옮겨와 창건하고 김취려를 주벽으로 김성진 등 5위를 봉안하고 금산원으로 액호를 바꾸어 유도향사하고 있음 더보기
군자서원 군자서원 소재지:전남 강진군 작천면 군자리 507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8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작천면 군자리 507, 종교용지, 602㎡ 건물 4동(강당, 신실, 내삼문, 외삼문) 1820년(순조20)건립 향사해 오다 서원훼철령으로 훼철, 1960년 신축 현재에 이름 더보기
강진수성당 강진수성당 소재지: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131 1885년 수성당 창건 1894년 동학 때 소실 1936년 2월 중창 우리 군 최초의 노인당, 동학유적지 독립운동의 후원처 강진수성당 개요 - 구조 : 전통한옥(목조, 기와) - 규모 : 1동(58㎡) - 기타 : 4칸 팔작지붕 더보기
강수재 강수재 소재지:전남 강진군 병영면 도룡리 37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7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병영면 도룡리 37, 대지, 843㎡ 강수재 건물 1동 17세기 해암 김응정선생의 서당 조선시대말 연파 김병휘선생이 제자들을 가르치기도 함 더보기
강덕사 강덕사 소재지:전남 강진군 군동면 라천리 1044 지정번호:강진군 향토문화유산 제 14 호 지정일:2004년 11월 01일 군동면 라천리 1044, 대지, 783㎡ 건물 2동(강당, 외삼문) 1966년 창건(1122-1146) 고려 인종때 왕위를 호종하고 나라를 보존시켜 강진의 명예를 드높인 최사전을 주벽으로 최표, 최부, 최극충을 배향하고 있음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는 1398년(태조 7)에 강진읍 동성리에 창건되어 지방교육을 담당해 오던 강진향교가 최초의 교육기관이었다. 이 지방 유림들에 의해 설립된 남강서원·금강사·강덕사·금산사(金山祠)·덕호사(德湖祠)·화암사(花巖祠)·구곡사·수암서원(秀巖書院)·서봉서원(瑞峯書院)·충정사·주봉서원(胄峰書院) 등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1820년(순조 20)에 건립된.. 더보기
해남윤씨 추원당 해남윤씨 추원당 소재지:전남 강진군 도암면 강정리 82 지정번호:민속자료 제29호 지정일:1990년 02월 24일 시대:1649년(인조27년) 추원당은 해남윤씨 덕정동파의 직계 선조인 통찰공 윤사보와 병조참의 윤경을 향사하기 위해 1649년(인조 27) 고산윤선도 (1587~1671)가 주축이 되어 건립한 제각이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로 내부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지붕은 겹처마 팔각지붕이며, 지붕 네귀에는 활주를 세웠다. 기와는 막새기와를 사용한 한와이다. 1781년(정조 5) 벽체와 서까래 보수 및 번와가 있었고, 1936년에는 동편 추녀의 서까래 교체가 있으며, 최근인 1986년에 전면적인 번와가 있었는데 현재까지 그 원형을 손상시키지 않아 건립 당시의 원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 더보기
해남윤씨 영모당 해남윤씨 영모당 소재지:전남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 707 규모:정면5칸, 측면2칸 지정번호:민속자료 제28호 지정일:1990년 02월 24일 시대:1687년(숙종13년) 영모당은 1687년(숙종 13년) 건립된 해남윤씨 문중 제각이다. 건물의 현존 상태나 규모, 배치의 면에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다. 제실인 영모당은 1687년(숙종 13)에 건립되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단층 팔각집으로 처마는 겹처마이고 기와내림 끝에 막새기와를 사용한 한와를 올렸다. 영모당은 3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거의 원형이 유지 보존되고 있으며 영모당, 행랑채,우사 (바깥 행랑채) 등 제례의 기능을 충족시켜줄 건물들을 고루 갖추고 있다. 또한 배치에 있어 유교 건축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일축선기법, 대칭에 의.. 더보기